[교수신문] 동양철학 관점으로 본 ‘지중해’…다문화사회 ‘공존의 길’ 찾는다 > Domestics and Overseas Activitie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MS YouTube IMS facebook IMS instagram

국내외 활동

언론보도 [교수신문] 동양철학 관점으로 본 ‘지중해’…다문화사회 ‘공존의 길’ 찾는다

페이지정보

글쓴이 지중해지역원 조회 197 조회 날짜 24-05-28 16:16
댓글 0 댓글

SNS 공유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내용


동양철학 관점으로 본 ‘지중해’…다문화사회 ‘공존의 길’ 찾는다 




윤용수_지중해지역원장


지중해는 누구의 바다였고, 어떤 바다였을까.  


19세기 서구 시각에서는 지중해는 유럽과 아프리카의 바다였다. 20세기 지중해 연구는 지중해와 맞닿아 있는 각 나라의 역사를 모아서 보는 관점이었다. 고대 그리스를 중심으로 바라보는 서구적인 역사 관념이다. 하지만 기존의 관점으로 지중해를 모두 설명하기에는 부족했고, 2000년대 들어 지중해를 중심에 놓고 관련된 나라의 유기적인 구조를 고찰하는 연구 경향이 등장했다.

여기서는 지중해 문명을 지도에 있는 지리적인 부분으로만 한정해 보지 않는다. 아시아의 메콩강 유역에서 로마 황제의 금화가 다량 발견된 적이 있는데 이를 단순히 교류의 우연으로 치부하지 않고, 지중해 문명권의 하나로 해석해서 본다. 지중해는 지리적 경계와 역사·문화적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바다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좋아요 0

댓글목록

댓글이 없습니다

본 사이트는 인문한국(HK)/인문한국플러스(HK+)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에서 수행중임.
GNUBOARD_M
Copyright © 지중해지역원. All rights reserved
(609-780)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485번길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Institute For Mediterranean Stud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65, Geumsaem-ro 485beon-gil, Geumjeong-gu, Busan, Korea, 609-780
Tel: +82-51-509-6651 Fax: +82-51-509-6651 email: meditstudies@im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