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페이지 열람 중
지중해의 낭만과 서구 근대의학배민 (부산외대 지중해지역원 인문한국 교수)인터넷에 있는 한 장의 낭만적인 지중해를 배경으로 한 사진을 소개해 본다. 예술 사진은 아니고 인터넷 뉴스 기사에 삽입된 한 장의 사진이다. 사진 속의 사람들은 수영을 하기 위해 물에 뛰어들고 있다. 이 사진은 사실 작년 남유럽의 불볕 더위가 이어지던 가운데 프랑스 남부의 니스에서 한 남자가 바닷물 속으로 뛰어들고 있는 모습을 찍은 것이다.작년 남유럽은 이례적인 폭염을 겪은 바 있다. 이탈리아의 경우 작년 수도 로마의 최고 기온이 41.8도로 관측되기도 했다. …
지중해 난민의 현재: 북아프리카의 리비아를 중심으로임정혜(조선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학과)아프리카인의 이주역사는 유럽국가들의 아프리카 식민통치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식민통치기간에는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카카오, 커피 경작과 철도, 도로와 같은 공공사업을 위한 노동력 확보를 위해 부족 간 이동이 식민통치정부에 의해 이뤄졌다. 유럽대륙으로의 이주는 제 1차 그리고 제 2차 세계대전 기간에 병력확보를 목적으로 그리고 산업혁명 이후에는 경제번영 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노동력 확보를 목적으로 이 또한 식민통치정부에 의해 대량이주가 이…
터키의 대 지중해 전략 Mavi Vatan(푸른조국): 터키-그리스 간 동지중해 분쟁을 중심으로오종진_한국외대I. 동지중해 분쟁의 배경 및 타임라인동지중해 해역은 오랫동안 터키와 그리스 간 영토분쟁이 지속된 지역이다. 그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체결된 1920년 세브레스 조약이 문제의 시초였다. [그림 1]과 같이, 세브레스 조약에 따라 패전국인 오스만 제국의 영토는 여러 세력들에 의해 분할되었고, 그 과정에서 그리스는 터키 서부 지역인 스미르나 영토(오늘날 이즈미르지역)와 ‘에게해’ 섬들의 대부분을 그리스…
지방의 작은 연구소에서 글로벌 지중해 지역학 연구의 허브로윤용수(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장)인문한국(Humanities Korea, HK)사업-가보지 않은 길인문한국(Humanities Korea)사업이 시작된 2007년은 대학 연구소뿐만 아니라 한국 대학 사회 패러다임의 일대 전환점이 된 획기적인 해였다. 인문학과 해외 지역학 분야 세계적 수준의 연구소 육성이라는 목표 아래 연구소를 대학의 한 축으로 정착시키려는 이 사업은 10년의 장기 사업, 학과 교수와 동급 대우의 연구소 소속 전임 교수 채용과 정년 보장(tenure) 등…
난민문제와 슬픈 지중해최재훈(지중해지역원 초빙연구원, email : chlwogns@gmail.com)지중해를 통해 최초로 대규모 교역을 했던 이들은 페니키아인들로 알려져 있다. 지중해의 동부, 현재의 레바논 부근에 거주했던 페니키아인들은 가까이는 그리스, 멀리는 지중해를 넘어 대서양에 이르는 대 항해를 통해 해상무역을 수행하였다. 튼튼한 목재를 사용한 선박 건조 기술과 별자리를 이용한 항해술 그리고 뛰어난 교역실력이 페니키아인들이 가졌던 원천기술이었다.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무역도시는 지중해 중부에 위치한 카르타고였고 카르타고는 …
동•서문화 교류의 가교로서의 지중해이종화(명지대 아랍지역학과 교수)세계문명과 문화의 흐름을 살펴볼 때 동양문화와 서양문화의 상호교류는 인류문화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고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특히 지중해 지역에서의 동․서 문화교류는 이 지역이 인류문화의 중심지였었던 점에 비추어 세계문화사의 흐름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서문화 교류의 증거로써 『부처설화』, 『칼릴라와 딤나』,『아라비안나이트』의 동양에서 서양으로 전이되는 경로와 과정 그리고 서양에 전이되어 나타난 형태에 대해 고찰하는 것은…
마르세유, 지중해의 도시 거버넌스(Governance)장니나(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HK연구교수)cnn@bufs.ac.kr <구항구 전경 0253>1990년대 프랑스 남부 마르세유 인근 지중해 바다에서 잠수부 코스케는 동물과 자연을 그린 인류 최고(最古)의 해저동굴벽화를 발견하게 되고 이는 스페인의 것보다 더 오래된 2만 7천 년 전 빙하시대 크로마뇽인의 흔적으로 판명된다. 당시 마르세유는 유럽지중해(Euroméditerrané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도시재정비 계획을 진행하고 있던 중으로 생-샤를르 역 주변의 신석…